환경운동
환경이 오염되고, 사람들이 심각성을 느끼기 시작하게 되면 이미 늦은 것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인식을 제대로 하고 환경운동을 벌이고 있는데요. 오늘은 각 나라에서 하고 있는 환경 운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생태주의
생태주의는 환경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오염으로 인한 문제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인류의 위기가 단순한 기술의 문제가 아닌 심층적이고 사회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원인에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기는 사회와 인류의 근본적인 전환으로만 해결이 가능합니다.
산업혁명 이후 인류는 풍족하고 여유로운 삶을 살고 있지만, 이와 반대로 환경은 파괴되어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환경 보호 운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예전의 환경주의는 기존의 사회가 가진 틀을 유지하면서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더욱 심각해지고 나빠지는 환경 문제를 생각하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근본적인 혁신에 의해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유럽의 다수에서는 환경을 지키기 위한 녹색당이 창당되기도 하고 파괴되어 가는 환경의 사진을 지속적으로 찍어 그 위험성을 알리기도 합니다.
2. 서구의 환경운동
서구의 환경운동 단체는 그리피스가 대표적인 단체입니다. 그러나 이런 단체의 문제점도 역시 있습니다. 바로 서구 중심으로 활동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그린란드의 이누이트는 제한되고 한정된 양에서 북극곰을 사냥합니다. 하지만 그리피스가 북극곰 사냥을 금지함으로 생태계에 이상이 생겼습니다.
3. 한국의 환경운동
한국의 환경운동은 70년대의 급격한 산업화의 비판으로 80년대 느즈막히 시작되었습니다. 정치 참여가 폐쇄적이었기 때문에 국내 최초의 환경단체인 한국공해문제연구소는 기독교 성직자들을 중심으로 설립되어 활동했습니다. 이 단체는 공해 문제에 집중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폭넓게 환경 운동이 활성화된 것은 90년대부터 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등이 주요 환경 운동 단체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4. 일본의 환경운동
일본의 환경운동은 50년대 원자폭탄 반대 운동과 미나미타병으로 인해 시작되었습니다. 일본의 좌파들은 환경운동에 적극적이지만 우파들은 냉소적입니다. 이는 환경관련 운동이 좌파가 개입하고 있으며 이런 운동으로 기업이 물러가면 본국의 국민이 피해를 본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5. 제3세계의 환경운동
제3세계에서는 오랫동안 환경 문제에 그렇게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급격한 공업 서서히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케냐의 왕가리 마타이 등 대표적인 사람이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